박길동의 일상이야기

자동차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켜졌을 때 대처 방법

박길동의 낙서장 2025. 2. 11. 17:40
반응형


1. 경고등이 켜진 원인 확인하기
자동차 계기판에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켜지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.

기온 변화: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아지면서 공기가 수축하여 공기압이 자연스럽게 낮아질 수 있습니다.

타이어 손상: 못이나 나사 등 이물질이 박혀 공기가 서서히 새어나갈 수도 있습니다.




2. 타이어 공기압 확인하는 방법
✔ 눈으로 점검

바퀴가 평소보다 많이 납작해 보이면 공기압이 부족한 상태입니다.

못이나 나사가 박혀 있거나, 공기가 새는 흔적(비눗물 거품 반응 등)이 있는지 확인하세요.


✔ TPMS(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) 체크

차량 내부 디스플레이에서 타이어 별 공기압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만약 특정 바퀴의 공기압이 급격히 감소했다면 펑크 가능성이 높습니다.


✔ 휴대용 공기압 측정기 사용

편의점이나 자동차 정비소에서 공기압 측정기를 빌려 직접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.





3. 공기가 새는지 확인하는 방법 (쉽고 확실한 방법)
① 비눗물 테스트

타이어에 비눗물을 뿌린 후 기포가 발생하면 공기가 새고 있는 것입니다.
② 귀를 가까이 대어 바람 새는 소리 듣기
③ 타이어에 물을 뿌려 거품 확인하기





4. 겨울철 적정 타이어 공기압

겨울철에는 공기가 수축하기 때문에 여름보다 공기압을 0.2~0.3 psi 높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.

차량마다 적정 공기압이 다르지만, 일반적으로

승용차: 32~35 psi

SUV: 35~38 psi

트럭: 40 psi 이상
가 적정 수준입니다.


차량 운전석 문짝 안쪽에 권장 공기압 스티커가 있으니 참고하세요.





5. 해결 방법
✔ 공기압이 조금 낮을 때 → 주유소, 정비소, 셀프 공기 주입기로 공기 보충
✔ 이물질이 박혀 있을 때 → 급한 경우 그대로 공기 보충 후 정비소 방문 (절대 뽑지 마세요!)
✔ 공기가 빠르게 새어나갈 때 → 스페어타이어로 교체 후 정비소 방문




6. 마무리 TIP
✅ 겨울철에는 한 달에 한 번 공기압 점검 필수!
✅ 기온이 낮아질수록 공기압이 감소하니 미리 체크
✅ 장거리 운행 전에는 꼭 공기압 확인하기

이제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떠도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겠죠?
겨울철 안전 운전하세요!

저도  며칠 전  갑자기  공기압  경고등  들어와서  비눗물(퐁퐁 섞은 물 )  스프레이로  뿌려더니  기소가  발생  ㅠ~~~ 못이  박혔네요  전 벌써 4번째입니다  바퀴에  자석 있는지  자주 발생하네요  
확인 후  보험사 전화  다행히  무료로 했네요
다들  안전 운전하세요 ^^

반응형